HttpServletRequest는 Http Servlet에 대한 요청 정보를 제공하도록 ServletRequest를 확장한 인터페이스이다.
HttpServletRequest는 서블릿 컨테이너가 생성하며 서블릿의 service()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보냅니다.
서블릿의 생명주기(Life Cycle)
1. 서블릿 컨테이너가 서블릿 인스턴스의 init() 메서드를 호출하여 초기화한다.
- 최초 요청시 한 번만 초기화되며 그 이후로는 이 과정을 생략한다.
2. 서블릿이 초기화된 다음부터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각 요청은 별도의 스레드로 처리하고 이때 서블릿의 service() 메서드를 호출한다.
- 이 안에서 HTTP 요청을 받고 클라이언트로 보낼 HTTP 응답을 만든다.
- service()는 Http Method에 따라 doGet() 또는 doPost() 등으로 위임하여 처리한다.
3. 서블릿 컨테이너 판단에 따라 서블릿을 메모리에서 내려야 할 시점에 destroy() 를 호출한다.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init() throws ServletExcetion {
System.out.println("init");
}
@Override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eu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tion {
System.out.println("doGet");
}
@Override
public void destory() {
System.out.println("destroy");
}
}
서블릿(servlet)은 개발자가 HTTP 요청 메시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 대신에 HTTP 요청 메시지를 파싱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HttpServletRequest 객체에 담아서 제공합니다. 서블릿 덕분에 개발자들은 HTTP 스펙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ervletRequest의 핵심 기능은 HttpServlet의 요청을 받아서 꺼내서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HttpServletRequest로 어떻게 컨트롤러에서 값을 꺼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form id='actionForm' action="/board/user" method='post'>
<input type="text" name="name" value="lusida" />
<input type="text" name="age" value="26" />
</form>
위처럼 JSP에서 사람 정보를 입력하고 POST로 넘기면 formData 형식처럼 key와 value의 값으로 HttpServletRequest에 담아서 컨트롤러로 전달합니다.
- content-type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메시지 바디에 쿼리 파라미터 형식으로 전달 username=lusida&age=26
GET의 경우 URL 뒤에 /board/user?name=lusida&age=26 형식으로 전달되는데 물음표(?) 뒤의 문자열들을 쿼리스트링 또는 요청 파라미터라고 부릅니다. GET 방식의 경우에도 ?key=value&key=value 형식으로 HttpServletRequest에 담아서 컨트롤러로 전달합니다.
@PostMapping("/user")
public String user(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name = request.getParameter("name"); // key 값을 이용해서 꺼내올 수 있다.
String age = request.getParameter("age"); // key 값은 input 에서 설정한 name 값이다.
// 만약에 JSP 에서 설정한 name="userName" 이라는 키값이 여러개인 경우에는
// getParameterValues() 메서드를 이용하여 배열로 받아올 수 있다.
String[] names = request.getParameterValues("name");
return REDIRECT_LIST;
}
중요 : key 값은 input에서 설정한 name 값이다.
@RequestParam
HttpServletRequest과 동일하게 @RequestParam 은 1:1 방식입니다. 차이점은 HttpServletRequest 대신 @RequestParam이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form id='actionForm' action="/board/user" method='post'>
<input type="text" name="name" value="lusida" />
<input type="text" name="age" value="26" />
</form>
@PostMapping("/user")
public String user(@RequestParam String name, @RequestParam String age) {
// @RequestParam 뒤에 붙는 매개변수 변수명은 JSP 에서 설정한 name 의 key 값과 동일해야 한다.
return REDIRECT_LIST;
}
HttpServletRequest와 @RequestParam을 이용하여 받아오는 경우 요청 파라미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컨트롤러 내부 코드나 매개변수가 증가하여 코드 가독성이 떨어지고, 작성되는 코드 양이 많아집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것이커맨드 객체(Command Object)입니다.
커맨드 객체
HttpServletRequest를 통해 들어온 요청 파라미터들을 setter 메서드를 이용하여 객체에 정의되어있는 속성에 바인딩이 되는 객체를 의미한다. 커맨드 객체는 보통 VO 나 DTO를 의미하며, HttpServletRequest로 받아오는 요청 파라미터의 key 값과 동일한 이름의 속성들과 setter 메서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어떻게 자동으로 바인딩을 시켜주냐 하면, 스프링이 내부적으로 HttpServletRequest와 커맨드 객체의 setter 메서드를 이용하여 알아서 바인딩시켜줍니다.
@Getter @Setter
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age;
}
@PostMapping("/user")
public String user(User user, Model model) {
String name = user.getName();
String age = user.getAge();
// user 파라미터를 model 에 담는다.
model.addAttribute("user", user);
return REDIRECT_LIST;
}
위에서 user 파라미터를 model에 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코드 또한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커맨드 객체의 역할
- 컨트롤러에서 View로 바인딩 : View 단에서 form:form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 View에서 컨트롤러로 바인딩 : View 단에서 input type="text" 혹은 input type="hidden"으로 값을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경우
- 컨트롤러에서 Mapper.xml로 바인딩 : Mapper.xml 에서 title = #{title}, contents = #{contents}처럼 사용하는 경우, 커맨드 객체를 통해 #{변수명}과 커맨드 객체의 필드명을 통해 바인딩해주는 경우
@ModelAttribute
@ModelAttribute는 크게 메서드명 위에 사용되는 경우와 파라미터 옆에 사용되는 경우로 나뉩니다.
@ModelAttribute는 커맨드 객체와 같이 요청 파라미터들을 객체 프로퍼티에 바인딩시켜준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ModelAttribute를 생략해도 커맨드 객체를 이용해서 바인딩이 되는데, @RequestParam 또한 생략해도 사실상 바인딩이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스프링이 내부적으로 String이나 int 등은 @RequestParam으로 보고, 그 외의 복잡한 객체들은 @ModelAttribute 가 생략됐다고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생략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PostMapping("/ins")
public String ins(@ModelAttribute User user, Model model) {
String name = user.getUserName();
String age = user.getAge();
// user 객체를 모델에 담는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담겨져 있다.
// 내부적으로 model.addAttribute("user", user); 로 담는다.
// 만약 객체명과 변수명이 @ModelAttribute UserVo user 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담길까?
// 클래스명을 기준으로 카멜케이스를 적용하여 model.addAttribute("userVo", user); 로 담는다.
return REDIRECT_LIST;
}
@ModelAttribute의 역할 중 하나는 model 에 객체를 담아준다는 것입니다. 파라미터 객체 옆에 @ModelAttribute를 사용했을 때 얻는 또 다른 이점은 @ModelAttribute 가 붙은 파라미터를 처리할 때는 @RequestParam과 달리 검증(Validation) 작업을 내부적으로 진행합니다.
@RequestParam의 경우 스프링의 기본 타입 변환 기능을 이용해서 요청 파라미터 값을 메서드 파라미터 타입으로 변환하는데, 만약 숫자 타입의 파라미터라면 문자열 타입으로 들어온 요청 파라미터의 타입 변환을 시도하고 실패하면 Http 400 Bad Request 응답이 클라이언트로 가게 됩니다.
하지만 @ModelAttribute의 경우 내부적으로 검증(Validation)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setter 메서드를 이용하여 값을 바인딩하려고 시도하다가 예외를 만나지만 작업이 중단되면서 Http 400 Bad Request 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타입 변환에 실패해도 작업은 계속되며 BindingException 타입의 객체에 담겨서 컨트롤러로 전달됩니다. 보통 등록이나, 수정을 처리하는 핸들러 메서드의 경우 다양한 검증을 실시해야 하고, 사용자의 입력 값에 오류가 있을 때에는 이에 대한 처리를 컨트롤러에게 맡겨야 합니다.
따라서 @ModelAttribute를 통해서 폼의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Errors 객체나 BindingResult 객체를 @ModelAttribute 가 붙은 파라미터 바로 뒤에 선언해서 검증 처리를 실시합니다. Errors 나 BindingResult는 자신의 바로 앞에 있는 파라미터 검증에서 발생한 오류들만 전달해주기 때문에 @Valid 나 @Validated, @ModelAttribute 가 붙은 파라미터 바로 뒤에 선언되어야 합니다.
메서드 위에 @ModelAttribute 가 사용되는 경우
컨트롤러에서 메서드 위에 @ModelAttribute 가 사용되는 경우는, 해당 컨트롤러 내의 어떠한 핸들러 메서드들보다 먼저 동작하게 됩니다.
/**
* @ModelAttribute 메서드가 먼저 동작하기 때문에,
* 다른 핸들러 메서드에서 model 에 담겨져있는 user 키값을 이용하여 user 객체를 꺼내서 쓸 수 있다.
*/
@ModelAttribute("user")
public String initUser() {
// 내부적으로 model.addAttribute("user", userService.findUser(FIRST_USER_SEQ)); 형태로 담는다.
return userService.findUser(FIRST_USER_SEQ);
}
따라서 여러 핸들러 메서드에서 공통으로 쓰이며, View 단에서도 꺼내 쓸 일이 있는 것들은 이런 식으로 처리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참고 블로그
'개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리제이 디버깅 기능과 사용 방법 (0) | 2022.11.01 |
---|---|
로깅이(SLF4J) 뭐야 그냥 print 찍으면 되는거 아니야? (0) | 2022.10.26 |
addAttribute VS addFlashAttribute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