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UTM 설치

맥북 M1에서 VM(Virtual Machine)인 UTM에서 Ubuntu 설치를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밑에 주소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UTM 다운로드 사이트 https://mac.getutm.app

 

UTM

Securely run operating systems on your Mac

mac.getutm.app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Download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맥북 런치패드에 보시면 UTM이 잘 설치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Ubuntu 설치

이제 밑에 사이트는 우분투를 설치하는 사이트입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서 우분투를 다운로드합니다.

우분투 https://ubuntu.com/download/server/arm

 

Ubuntu for ARM | Download | Ubuntu

Download Ubuntu Server for ARM with support for the very latest ARM-based server systems powered by certified 64-bit processors.

ubuntu.com

Download Ubuntu 22.04 LTS를 다운로드합니다. 이제 다운로드는 다 끝났습니다.

이전에 다운로드했던 UTM을 실행시켜 줍니다.

 

UTM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은 화면이 실행됩니다.

왼쪽에는 VM을 보여주는 공간입니다. 아직 VM을 만든 것이 없기 때문에 왼쪽 공간은 비어있습니다.

이제 새 가상머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ize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저희는 Linux를 설치를 해야 되므로 Linux를 클릭해 줍니다.

 

리눅스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Use Apple Virtualization을 체크하지 않고

Boot ISO Image에 있는 탐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에서 다운로드했던 Ubuntu 설치 파일을 클릭합니다. 

 

메모리를 설정합니다.

Ubuntu Server는 메모리 사용량이 크지 않으므로 저는 2GB와 CPU Core 2개를 설정했습니다.

 

저장소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저장소의 크기는 20GB로 설정하였습니다.

 

공유 폴더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저는 따로 공유 폴더를 만들지 않아 Continue 버튼을 눌렀습니다.

 

VM의 이름을 설정해 줍니다.

저는 docker-ubuntu라는 이름으로 설정하였습니다.

 

VM에서의 설정은 완료하였습니다.

이제 VM에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해 재생 버튼을 클릭합니다.

 

재생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Try or Install Ubuntu Server에 엔터를 눌러줍니다.

 

한국어는 따로 없어서 English를 선택합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고 실행하였습니다.

Continue without updating에서 엔터를 누릅니다.

 

English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한국어는 없으니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Ubuntu Server를 선택하고 Done에서 엔터를 누릅니다.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화면입니다. 할당된 IP 주소와 맥 주소가 보입니다.

따로 설정할게 없어서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프록시도 따로 설정해 줄게 없어서 그냥 넘어갔습니다.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저는 미러를 기본 Default 값으로 설정하였습니다.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저장소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파티션 분배를 수동으로 하기 위해 Custom storage layout에 (x)로 표시하고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위에 화면에서 free space에서 엔터를 누르면 옆에 창이 나오는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저는 총 3개의 파티션을 나눴는데 1개의 파티션은 13G를 사용하고 format은 ext4, Mount는 / 로 만들었습니다.

 

두 번째 파티션은 1G를 사용하고 Format은 swap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세 번째 파티션은 나머지 용량을 사용하고 Format은 ext4를 사용하고 Mount는 /boot 로 설정하였습니다.

 

파티션 분배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이제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창이 하나가 나오는데 Continue에서 엔터를 눌러 진행합니다.

 

이제 우분투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적는 화면입니다.

유저 이름과 유저 서버 네임 등 기본 정보와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

 

openSSH server에 대한 화면입니다.

따로 설정은 해주지 않고 Done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우분투에 설치하고 싶은 패키지들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따로 설치하고 싶은 것이 있으시면 체크하고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가 진행되고 있는 화면입니다.

조금만 기다리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화면 위에 Install complete라고 나왔습니다.

이제 Reboot Now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우분투가 꺼졌다가 다시 켜지는데 검정 화면에서 커서만 깜빡거리면서 멈춰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VM 화면 창 오른쪽 상단에서 Drive image options을 클릭하고 CD/DVD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옆에 꺼내기 변경이 나옵니다.

꺼내기를 클릭합니다.

 

꺼내기를 완료하셨으면 이제 VM 화면의 왼쪽 상단에 Restarts the VM 을 클릭해 줍니다.

 

우분투가 재부팅이 진행되는 화면입니다.

 

성공적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분트를 설치하면서 설정하셨던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로 로그인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로그인이 성공 후 우분투가 성공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